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민연금을 받던 배우자 사망 시 남은 가족이 대신 받을 수 있을까?

by Boo2024 2024. 4. 28.
반응형

갑자기 배우자가 사망하게 되면 이것저것 정리해야 할 것들이 많이 있다. 그 중 국민연금에 대해 알아보자. 

 

국민연금을 받던 배우자가 사망하게 되면 남은 가족 중 한사람이 대신 받을 수 있을까?

 

  • 일정한 조건을 맞춘다면 충분히 가능하다. 
  • 사망한 배우자가 받고 있던 국민 연금음 유족연금으로 전환이 된다. 그래서 배우자, 자녀 또는 부모가 수령할 수 있게 된다.

 

유족연금 전환 조건

  • 자신이 노령 연금 수급권자에 해당되어야 한다.
  • 가입기간이 10년 이상 되어야 한다. 
  • 사망일을기준으로 최근 5년 중 3년 이상 보험료를 납부하고 있었어야 한다. 
  • 전체 가입대상 기간 중 1/3 이상 납부해야 한다. 

주의할점

  • 국민연금 가입기간 중 체납기간이 3년 이상이라면 수급을 받을 수 없다.
  • 장애등급의 경우 2급 이상이어야 장애 연금 수급권자에 해당된다.
  • 2016.11.30. 이후 사망자 중 연금보험료를 낸 기간이 가입대상기간이 1/3이상인 가입자(였던 자) 및 사망일 5년 전부터 사망일까지의 기간 중 3년 이상 연금보험료를 낸 가입자(였던 자)는 사망일이 타공적연금 가입기간이나 내국인의 국외이주 또는 국적상실 기간 및 외국인의 국외거주기간 중에 있는 경우는 유족연금을 지급하지 않는다.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는 대상 순위

  1. 배우자(사실혼 배우자 포함)
  2. 25세 미만 자녀
  3. 60세 이상 부모
  4. 19세 미만 손자녀
  5. 60세 이상 조부모(어렸을 때에 키워준 증거가 필요함)

유족연금을 받을 가족이 없다면

-유족연금을 받을 가족이 없다면 사망 일시금으로 받을 수 있음. 

이떄 최우선 순위자가 받게됨.

-유족연금으로 저환할 수 있는 조건에 충족하지 못할 경우: 가입자가 납부한 이자는 가산해서 반환 일시금으로 되돌려 받을수 있음. 

유족연금 지급 금액

-기본 연금액의 일부 + 부양가족의 연금액

-가입기간이 10년 미만인 경우 기본 연금액의 40%

-가입기간이 10~20년인 경우 기본 연금액의 50%

-가입기간이 20년 이상인 경우 기본연금액의 60%

 

배우자 사망으로 인하여 유족연금을 받을 경우 3년 동안에는 소득의 유무에 상관없이 지급 3년이 지난 다음에는 소득이 있는 경우 중지한다. (이때 소득은 월평균 소득 금액이 2024년 기준 298만 9237원이 넘어가면 중지) 

 

단 장애등급 2급이상이거나 25세 미만 자녀가 있다면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유족연금은 계속 지급

 

유족연금 수급권의 소멸 (법 제75조)

유족연금 수급권자가 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게 되면 그 수급권은 소멸됩니다.

① 수급권자가 사망한 때

② 배우자인 수급권자가 재혼한 때

③ 자녀나 손자녀인 수급권자가 파양된 때

④ 장애등급 2급 이상 또는 「장애인복지법」상 심한 장애인에 해당하지 아니한 자녀인 수급권자가 25세가 된 때 또는 장애등급 2급 이상 또는 「장애인복지법」상 심한 장애인에 해당하지 아니한 손자녀인 수급권자가 19세가 된 때

⑤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사람이 사망할 당시 그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사람의 태아가 출생하였을 때(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자의 태아가 출생한 경우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자에 의하여 생계를 유지하고 있던 자녀로 인정하므로, 자녀보다 후순위로 유족연금을 받던 자의 수급권은 소멸)

 

 

반응형